본문 바로가기
건강

타임지가 선정한 10대 슈퍼푸드 귀리의 효능 및 부작용

by 소율파파!! 2023. 2. 17.
반응형

슈퍼푸드 귀리
타임지가 선정한 10대 슈퍼푸드 귀리

1. 귀리란?

타임지에서 선정한 10대 슈퍼푸드 중 하나인 귀리는 다른 곡물에 비해 수용성 섬유질, 필수아미노산, 단백질 등이 풍부한 식품으로 다른 곡물과 섞어 먹거나 귀리를 볶아 납작하게 만든 가공품인 오트밀을 우유나 물과 섭취하는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2. 귀리의 주요 생산지

귀리의 주요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이며 수입은 핀란드, 호주, 캐나다, 러시아 등에서 이루어지며 10대 푸드로 알려지면서 국내에서도 많은 소비와 생신이 이뤄지머 국내생산지는 정읍, 전남, 강진, 전북등에서 생산 되어지고 있다.

3. 영양성분

귀리는 탄수화물(21.7%), 단백질(14.3%), 지방질 등과 무기질,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단백질은 쌀의 2배정도이고 라이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열량은 쌀귀리 100g당 371kcal, 오트밀 382kcal 입니다.

4.  귀리의 효능

귀리에는 수용성 섬유질이 풍부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며,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폴리페놀등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성민병 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또한 귀리의 베타글루칸 성분은 우리 몸속에서 숙변을 제거하는 역활을 하여 장 내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효능이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많은 인기를 가지고 있으며, 현미의 4배가 넘는 칼슘을 함유하여 성장기의 아이들에게 성장 발육에도 많은 도움을 주는 영양 식품 입니다.

5. 귀리 고르는 방법

국내산 귀리를 고를 때는 전체적으로 모양이 길쭉하고 통통한 것으로 선택을 해야하며, 이물질이 섞여있는지 확인하고 잘 건조된 것을 구매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귀리가 타임지등 슈퍼푸드로 알려지면서 국내의 귀리 생산량도 늘고 있으니 구매시 원산지를 살펴보는 것을 추천드리며 좋은 귀리를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6. 귀리 손질 및 섭취 방법

귀리는 흐르는 물에 여러번 저어가며 깨끝하게 씻어 섭취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밥을 지을때 쌀과 귀리의 비율을 7대 3 정도로 쌀과 함께 씻어 30분에서 1시간 정도 불린뒤 평소 밥을 지을때보다 물의 양을 조금더 추가 하여 밥을 지으면 되며 현미와 같이 지을때는 물의 양을 평소와 같이 넣고 지으면 되니 참조 바랍니다. 귀를 볶아 가공한 오트밀의 경우 별도의 손질은 필요치 않으며 뜨거운 물이나 우유 등과 섞어 섭취하면 됩니다. 한가지 팁을 드리면 오트밀의 고소한 맛을 더욱 풍부하게 즐기실 원하시면 마른 팬에 약한 불로 살짝 복아 이용 하시면 더욱 풍부한 맛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7. 귀리의 보관 방법

귀리의 보관 방법은 일반 곡류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밀폐용기에 넣어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에 보관을 하시면 되며, 장기간 보관하거나 개봉된 귀리는 잘 밀폐하여 냉장 보관을  추천드립니다.

8. 귀리의 부작용

귀리는 세계에서도 안전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어 부작용을 알지 못하고 섭취하는 경우가 있으니 부작용에 대해서도 알고 섭취하는게 중요합니다. 귀리에는 섬유질이 아주 풍부하여 일일 권장량(성인기중 17g)이하로 섭취하시는게 좋으며 과복용시 배가 더부룩하거나 복부팽만감, 설사, 복통등의 증상이 유발 될 수 있으니 하루 권장량을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소량이지만 글루텐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성분의 알레르기가 있으신 분들은 주의 하셔야 하며 마지막 으로 임산부의 섭취 부분 입니다. 임산부가 귀리를 섭취하면 자궁 수축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글을 많이 보게 되는데 정확한 근거는 아직 없는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혹시나 임산부들이 섭취하시는 부분이라면 한번쯤은 의사와 상의를 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 부분이라 블로그 검색 으로는 확신하지 않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합병증이 무서운 당뇨병 증상 및 관리법

1. 당뇨란? 당뇨란 당뇨병이라는 질병의 짧은 용어로 고혈당 또는 고나트륨성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는 당이 혈액 속에 적절히 제공되지 않아서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각종 기관에

soyulmine.tistory.com

 

반응형

댓글